- William Shakespeare의 문헌
- 기타 문헌
* 셰익스피어의 문헌
![]() | ![]() |
1623년 그의 배우 친구들이 출간한 희곡집 First Folio의 표지 | 1600년 출간된 한여름밤의 꿈의 표지 |
![]() |
많은 셰익스피어 희곡이 처음으로 상영된 런던의 Globe 극장 |
-문헌살펴보기-
![]() | 이 텍스트는 셰익스피어의 The Tragedie of King Lear의 일부분이다. 본문의 내용은 Gloster가 시력을 잃고 그의 아들 Edgar를 알아보지 못하는 가운데 Steward도 Edgar를 거지라고 생각하는 대목이다. 참고. |
* 기타 문헌
가. John Bunyan
이 텍스트는 1678년 출간된 천로역정의 1판에서 가져온 것이다. 기독교인의 종교적 의구심이 그로 하여금 희망을 잃게 하고 절망에 빠져들게 한다. 우화의 형식으로 그와 그의 동료 Hopeful이 Giant Despair에게 잡혀 Doubting Castle의 동굴 안에 내던져 진다. 번연의 영어는 1670년대의 일상적인 대화를 그대로 묘사하고 있다. 그 영어는 재치나 학문적인 영어가 아니고 장인이나 시골사람 그리고 상인들의 언어이다.
- 존 번연의 초상과 천로역정의 삽화
|
|
나. John Milton
Areopagitica(재판관): 당시 국왕 찰스1세의 왕당파와 크롬웰이 이끄는 의회파와의 내란이 일어나고 있었다. 밀튼은 이혼론에 대하여 그 자신 자기의 진영으로 여기고 있던 의회에서 탄압을 하려고 들자 그는 Areopagitica를 저술하여 언론과 출판의 자유를 강조한다. 이 문체는 기교 없는 서술체가 아닌 희랍과 라틴의 웅변술에 수사학적 모델을 이용하고 있다.
![]() |
Areopagitica(재판관): 당시 국왕 찰스1세의 왕당파와 크롬웰이 이끄는 의회파와의 내란이 일어나고 있었다. 밀튼은 이혼론에 대하여 그 자신 자기의 진영으로 여기고 있던 의회에서 탄압을 하려고 들자 그는 Areopagitica를 저술하여 언론과 출판의 자유를 강조한다. 이 문체는 기교 없는 서술체가 아닌 희랍과 라틴의 웅변술에 수사학적 모델을 이용하고 있다.
- 존 밀튼의 초상
|
최근 덧글